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7 |
8 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
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
22 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29 | 30 | 31 |
- AWS배포자동화
- terraform with aws
- Cissp sdlc
- 최소권한
- AWS CodeDeploy
- aws기초
- AWS구축
- Linux
- terraform기본
- linux명령어
- 리눅스기초명령어
- 주피터노트북 설치
- 직무분리
- 리눅스기초
- AWS실습
- AWS CI/CD
- aws
- cissp
- aws terraform
- GDPR
- terraform기초
- 리눅스명령어
- blue/green배포
- aws따라하기
- 쉘스크립트
- 리눅스
- terraform따라하기
- opt/anaconda3/bin/jupyter_mac.command
- aws기본
- AWS 공격테스트
ysuekkom의 IT study note
[k8s] Pod 생성 시 플로우와 쿠버네티스 특성 이해하기 본문
k8s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. 본 포스팅에서는 파드 배포 시, k8s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과 플로우에 대한 내용을 주로 설명한다.
https://ysuekkom8915.tistory.com/56
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이해하기
모든 클러스터는 최소 한 개의 워커 노드를 가지며, 워커 노드의 집합을 클러스터라고 한다. 워커 노드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Pod(파드)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.
일반적으로 Control Plane(마스터 노드) 여러 개가 실행되고, 여러개의 워커노드 즉 클러스터가 실행하므로, 장애 발생 시 고가용성과 내결함성을 확보할 수 있다.
파드가 배포 될 때,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에서는 어떤 동작이 발생할까?
파드 배포 시 플로우를 확인하기 전에, k8s의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하다.
쿠버네티스는 기본적으로 MSA, 즉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모델이다.
MSA와 기존 모놀리딕 아키텍처의 차이는 아래 포스팅 내 클라우드 네이티브 핵심요소 파트를 참고하면 된다.
https://ysuekkom8915.tistory.com/55
쉽게 말해 MSA 아키텍처에 의해서,
마스터노드와 워커노드의 구성요소인 api-server, etcd, kube-contrl, scheduler, kubelet, container는 각자 자기 할 일만 한다는 뜻이다.
아래 플로우를 살펴보자.
1. 관리자가 kubectl create pod 명령어를 통해 pod 생성을 요청
2. api-server는 새로운 요청에 따른 클러스터 정보를 etcd(저장소)에 업데이트
3. etcd는 업데이트 결과를 api-server로 전송
4. controller-manager는 api-server의 상태 값을 확인하고, 새로운 pod를 생성
5. 스케줄러는 생성된 pod의 워커노드에 할당 및 상태값 업데이트
6. pod의 상태와 동작을관리하는 워커노드의 kubelet이 pod 생성 관련하여 컨테이너로 전달
7. 컨테이너 런타임에서 컨테이너 생성
>>api-server는 상태값에 맞는 동작을 하는지 항상 감시
>>사용자는 kube-proxy를 통해 워커노드로 접근, kube-proxy가 워커노드 내에서 pods로 접근
다시 정리해보자면,
API server는 차트에 설명되어 있듯, 상태값을 "선언"만 하고, 실제 명령이나 동작을 내리진 않는다.
컨트롤러와 스케줄러, 그리고 워커노드의 kubelet이 지속적으로 api-server의 상태값을 확인, update된 상태가 있으면
자기가 할 일을 수행한다.
즉, api-server가 모든 통신에 개입하며, 통신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(api-server의 상태값에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)
- api-server: 상태값 update 수행, etcd에 기록, 상태값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이 움직이는지 '감시'만 할 뿐 명령 등의 동작 수행 없음
- controller-manager: 현 상태와 api-server의 차이를 없애고 동기화 수행
- scheduler: 실제로 배포한 pod가 노드에 잘 할당되었는지 상태값을 보고 수행
각 구성요소들은 api-server에 선언된 상태값을 "지속적으로 체크"하여, 상태값에 맞출 수 있도록 각자의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.
>>중요한 개념임으로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자!
마치며
MSA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쿠버네티스의 구성요소들의 특징 및 동작에 대해 알아보았다.
이해를 돕기 위한 플로우차트를 만들어 보았는데,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.
다음 포스팅에서는 마스터노드와 워커노드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,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겠다.
k8s 기초 포스팅은 저자 '조훈'의 Kubernetes Basic을 바탕으로 개인 학습 후 재구성 하였습니다.
참고
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concepts/overview/components/
https://github.com/kubernetes/community
https://ysuekkom8915.tistory.com/56
'DevOps > k8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버네티스 따라하기- k8s 기본 명령어와 pod구조 (0) | 2023.07.23 |
---|